본문 바로가기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전라도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국보 제12호

by 전주 럭셔리크로우 2024. 5. 14.
반응형

2024년(불기2568년) 5월 15일은(음력 4월 8일) 초파일(初八日)이다.

부처님의 탄생을 기념하는 날로 2017년까지는 ‘석가 탄신일’로 불리었으나, 2018년 공식 명칭을 ‘부처님 오신 날’변경하였다.

탄생불_불기2568년 5월 15일 초파일(初八日)
탄생불_불기2568년 5월 15일 초파일(初八日)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지리산 화엄사(智利山 華嚴寺)_2023.04.30 드론촬영
지리산 화엄사(智利山 華嚴寺)_2023.04.30 드론촬영

 

오늘 특별히 많은 사찰 중 지리산 화엄사(智利山 華嚴寺)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을 올려봅니다. 2023년 4월 30일 부모님과 함께, 2024년 5월 가족과 함께 갔던 화엄사입니다.

지리산 화엄사 국보 제12호 석등
지리산 화엄사 국보 제12호 석등_2024.04.30

 

전북 지역에는 유명 사찰이 많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제 사진 폴더에서 나오지 못한 김제 금산사, 고창 선운사, 부안 내소사, 개암사, 남원 실상사 등 전북지역의 다수의 크고 작은 사찰을 아직까지 올리지 못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사찰의 역사를 공부해야 하고, 사진도 많기 때문입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4.05.12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4.05.12

 

2023년 4월 30일에 갔다 온 지리산 화엄사(智利山 華嚴寺)를 2024년 5월 12일에 다시 찾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각황전 앞 석등은 간주석 위로 보이지 않았습니다. 푯말에는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해체하여 보존처리에 들어간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국보 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보존처리
국보 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보존처리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보존처리

돌에 새겨진 우리 선조의 불교문화유산을 온전히 보존하기 위해 국보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의 상륜부와 옥개석, 화사석, 상대석을 해체하여 보존처리 합니다.

-처기기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처리기간: 2023.05.~2025.06.(예정)

-처리내용: 오염물 제거, 파손부재 접합, 신석복원 등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_설명문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_설명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은 신라 문무왕 17년(677)에 의상 조사가 조성한 것이다. 우리나라 최대의 석등으로, 높이6.36m이다. 꽃잎의 형태는 3천 년 만에 한 번 핀다고 하는 우담바라화의 꽃잎인데, 이 꽃은 부처님 오심이 지극히 드문 일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국보 제12호 석등의 화창과 귀꽃
국보 제12호 석등의 화창과 귀꽃

 

꽃의 8잎은 8정도[정견(正見), 정념(正念), 정정진(正精進), 정명(正命), 정업(正業), 정어(正語), 정사유(正思惟), 정정(正定)]이고, 화창(火窓) 넷은 사성제[고집멸도(苦集滅道)]와 부처님의 광명이며, 북의 모습은 진리의 소리이다. 곧 8정도로 수행하여, 사성제의 진리의 이치를 밝히고, 광명을 놓고, 진리의 소리를 중생들에게 들려주어, 마음의 등불[자등명 법등명(自燈明 法燈明)]로 세계를 밝혀 주시는 부처님의 참다운 모습을 볼 수 있는 석등이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Stone Lantern at Gakhwangjeon Hall of Hwaeomsa Temple, Gurye

National Treasure No. 12

Stone lanterns are placed in Buddhist temples to be used for light offerings to the Buddha. They are typically placed in front of the main worship hall or a pagoda.

This lantern is said to have been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668-935). It is made of granite and is an impressive 6.36 m in height which naturally matches the imposing size of Gakhwangjeon Hall. It is the largest extant stone lantern in Korea.

옥개석의 귀꽃과 보주
옥개석의 귀꽃과 보주

 

The lantern is composed of a round base engraved with lotus designs, a convex round pillar, an octagonal light chamber with four openings, an octagonal roof stone, and a decorative top. All parts of the lantern have maintained their original structure. This kind of pillar shape was a popular design during the late Unified Silla period.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보고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내용을 찾아보았다.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_국보 제12호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_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求禮 華嚴寺 覺皇殿 앞 石燈)

▪국보(1962년 12월 20일 지정)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 화엄사 (황전리) / (지번)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석등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중대석을 장구 형태로 만든 고복형(鼓腹形) 석등으로 전체적 규모에 있어 장중하면서도 세부 조각이 뛰어나 9세기 통일신라 석조미술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또한 기단부, 화사석 및 지붕과 상륜부가 완벽하게 남아있어 완성미를 더하고 있다.

국보 제12호(1962년 12월 20일 지정)
국보 제12호(1962년 12월 20일 지정)

 

역사적 변천

석등은 각황전 앞에 위치해 있다. 각황전은 원래 내부에 화엄석경을 봉안한 장육전(丈六殿)이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소된 후 1702년(숙종 28) 다시 지어졌다. 각황전은 의상이 문무왕의 명을 받아 건립했다는 설과 최치원이 쓴 「봉위헌강대왕결화엄경사원문(奉爲憲康大王結華嚴經社願文)」(886)의 내용에 따라 9세기 후반에 건립했다는 설이 있는데, 석등의 양식으로 보아 9세기 후반으로 보고 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4.05.12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4.05.12

 

내용

석등은 전체적으로 팔각 평면이지만 기단부의 간주석이 장구 모양으로 된 고복형이다. 기단부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으로 구성되었는데, 하대석은 팔각의 하단석과 복련석으로 되어 있다. 하단석은 3매의 돌로 조립되었으며 각 면에는 각각 두 개씩의 안상이 있다.

연화상대석(蓮花上臺石: 앙련仰蓮이 있다)
연화상대석(蓮花上臺石: 앙련仰蓮이 있다)
중대석 or 간주석(竿柱石: 석등의 북 모양<고복형> 기둥)
중대석 or 간주석(竿柱石: 석등의 북 모양<고복형> 기둥)
석등의 연하대석(蓮花下臺石)과 지대석(址臺石) 부위
석등의 연하대석(蓮花下臺石)과 지대석(址臺石) 부위

 

상단석은 팔엽의 복련으로 연꽃잎마다 귀꽃을 장식하여 화려함을 더했으며 그 위로는 구름모양과 굽형 받침대를 두어 중대를 받고 있다. 중대석은 중앙의 편구형태를 중심으로 위아래로 돌출시켜 마치 장구 모양을 하고 있다. 중심 편구형 부분에는 8곳에 꽃무늬를 배치하고 2줄의 띠매듭으로 연결하였다. 상대석은 하면에 3단의 받침을 두었으나 매우 낮게 처리되어 평박한 형태이다. 상대의 연화문은 하대석과 같은 8엽으로, 상단에는 굽형괴임을 각출하여 화사석을 받치고 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연화상대석-화사석-옥개석과 상륜부
연화상대석-화사석-옥개석과 상륜부

 

화사석은 8면으로, 4면에 화창을 마련하였으며 벽면으로 처리된 부분에는 별다른 장식문양이 없다. 화사석 내부는 위아래로 원형 구멍을 두었다. 옥개석은 낙수면이 평박하고 넓게 뻗은 처마가 수평을 이루고 있는데, 각 모서리마다는 화문이 있고 커다란 귀꽃으로 장식되었다. 옥개석의 상면에는 연꽃이 조각된 복련대를 두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상륜부_노반, 앙화, 보륜, 보개, 보주
상륜부_노반, 앙화, 보륜, 보개, 보주

 

상륜부노반, 앙화, 보륜, 보개, 보주로 이루어져 있다. 노반은 8각으로 상면에 낮은 1단의 받침을 두어 앙화를 받고 있는데, 앙화는 8각으로 8엽의 화문으로 장식되었다. 보륜은 원형이며 보개는 8각으로 상면 우동이 두툼하게 표현되고 끝이 귀꽃으로 장식되었다. 보개의 위로는 3단의 원통형 받침을 두고 최상부에 연봉형의 보주를 놓았다.

연화상대석-화사석-옥개석과 상륜부
연화상대석-화사석-옥개석과 상륜부

옥개석과 상륜부
옥개석과 상륜부

특징

이 석등은 9세기 통일신라 석조미술에서 자주 등장하는 안상과 귀꽃 등을 적절히 배치되어 화려함을 더하고 있으며 간주석이 장구 모양으로 되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반면 화사석은 별다른 문양이나 장식을 하지 않아 전체적으로는 크기에 걸맞는 위풍당당한 위용을 보인다. 특히 간주석 및 화사석에서 나타나는 굽형받침이 9세기 후반 석조미술에서 보이는 양식인 점을 감안한다면 제작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지리산 화엄사 석등_9세기 통일신라시대
지리산 화엄사 석등_9세기 통일신라시대

 

의의와 평가

이 석등은 국내 현존하는 석등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며 세부의 조각 수법도 정교하여 신라 석등의 백미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호남지역에 널리 유행한 고복형 석등의 선구적 작품으로 신라하대 석조미술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준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높이 6.36m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높이 6.36m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2023.04.30

 

석등의 주요 명칭
석등의 주요 명칭

 

석등의 주요 명칭

▪보주(寶珠: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로 노반露盤 맨 위에 끝부분이 뾰족한 연꽃봉오리 모양)

▪옥개석(屋蓋石: 석탑이나 석등 따위의 위에 지붕처럼 덮는 돌)

▪화사석(火舍石: 등불을 밝히도록 된 석등의 중간 부분으로 화창火窓을 내었다)

▪연화상대석(蓮花上臺石: 앙련仰蓮이 있다)

▪상대석의 앙련(仰蓮: 연꽃이 위로 향한 것처럼 그린 모양 or 무늬)

▪중대석 or 간주석(竿柱石: 석등의 북 모양<고복형> 기둥)

▪연화하대석(蓮花下臺石: 복련 伏蓮이 있다)

▪지대석(址臺石: 기단부로 안상眼象이 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국보 제12호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_국보 제12호
임실 진구사지 석등_보물 제267호/높이 5.18m
임실 진구사지 석등_보물 제267호/높이 5.18m
남원 실상사 석등_보물 제35호/높이 5m
남원 실상사 석등_보물 제35호/높이 5m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아래 URL클릭시 이동)

임실 진구사지 석등(보물 제267호)과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임실 진구사지 석등(보물 제267호)과 석조비로자나불 좌상

2022년 07월 01일 당시 전주 럭셔리크로우의 발길이 닿은 곳은 전라북도 임실 진구사지입니다. 사진을 많이 찍는 이유와 포스팅에 제가 만족할 정도의 정보가 되었을 때 올리는 부분이 있어서 이

jeonjucastelblog.tistory.com

남원 실상사 석등 보물 제35호(南原 實相寺 石燈)

 

남원 실상사 석등 보물 제35호(南原 實相寺 石燈)

2023년 3월 5일 남원 실상사를 찾아가는 길목에 곳곳을 다니며 사진을 남겼던 곳의 포스팅이다. 인월-월평마을-영월사-중군마을-실상사(實相寺)-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동편제마을,비전마을

jeonjucastelblog.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