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전주/전주 동별 지명유래

전주시 덕진동의 유래

by 전주 럭셔리크로우 2022. 9. 16.
반응형

본 포스팅에 앞서 이 글의 출처는 전주시 마을조사 “동심(洞心)찾기” 마을조사서임을 밝힙니다. 또한 원본 조사서의 양이 방대하여 일부 발취 하였고, 기타 편집 및 사진은 전주 럭셔리크로우의 창작물입니다. 아래 마을조사서의 첫 장에 있는 조사개요 부분을 소개하며 시작합니다.

 

 

조사개요

전주시와 ()전주문화재단은 20159월에 마을조사단을 구성하여, 전주시의 33개 행정동에 대한 마을 조사를 2018년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했습니다.

 

33개 행정동에 대한 조사는 20159월의 1차년도 조사를 시작으로 20184차년도 조사까지 총 4년에 걸쳐 진행됩니다. 연도별 조사 대상 동은 아래 표와 같으며 이러한 조사동의 선정은 마을조사단의 자문위원회와 전문위원회에서 논의된 시대별 전주시의 성장과정과 동별 공동체의 변화 및 지향을 기준으로 이루어졌습니다.

33개 행정동의 4차년도 조사

 

1. 덕진동의 유래

덕진동(德津洞)이라는 지명은 덕진공원에 있는 덕진연못에서 유래했다. 덕진연못은 본래 덕진지(德眞池)라 불렸으며 조성 배경의 유래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 번째 설은 후백제의 견훤이 풍수지리에 근거하여 땅을 파고, 물을 끌어와 연못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설은 야사(野史)에 기록된 내용으로, 도선국사가 덕진지(德眞池)를 축조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덕진연못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되었다는 역사적 근거나 고고학적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분명한 사실은 문헌기록상 덕진연못이 고려시대부터 등장한 자연호수라는 점이다. 고려시대에는 제방을 쌓지 않았고, 조선시대에 제방을 쌓으면서 덕진연못은 덕진제라고도 불렀다. 덕진제는 건지산과 가련산을 잇는 제방이다.

 

제방을 조성한 배경은 풍수신앙과 밀접히 연관된다.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전주부성 주위가 산으로 둘러싸여 분지를 이루고 있으나 건지산(乾止山)과 가련산(可連山)사이 북서쪽이 열려 있어 전주의 기운이 새어나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건지산과 가련산 사이에 조성한 인공호수라고 기록되어 있다. 건지산과 가련산 사이가 이어지지 못하고, 열려 있으면 전주의 기운이 전주 밖으로 새어나간다는 비보풍수에 따라 건지산과 가련산 사이에 제방을 쌓은 것이다. 1927년에는 전주의 부호였던 박기순이 사설공원조성계획의 일환으로 덕진공원을 건립했고, 1931년 전주시에 기부하였다. 덕진공원은 19784월 시민공원 결정고시에 근거하여 도시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덕진동은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전주부성의 외곽지역으로서 전형적인 농촌의 모습을 띠고 있었다. 덕진동이 농촌이기는 하나 상징적으로는 중요한 장소였는데, 조선왕실의 뿌리인 조경단이 건지산에 자리 잡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전주이씨의 시조인 이한의 묘가 조경단에 조성되어 있어서 조선왕실에서는 조경단을 중요히 여겼다. 조선시대에 조촌면에 속해 있었던 덕진동은 1940년에 전주시로 편입되었다. 전주시에 편입될 때 덕진동은 일본식 동 명칭인 정()을 사용하여 덕진정으로 불렸다. 1946년에는 일본식 동 명칭을 변경하여 덕진동이라 하였다. 1957년에 덕진동 1, 2가로 분동하였다가 1973년에 덕진동으로 통합하였다.¹ 덕진동 1, 2가의 동명은 주소지에서만 그대로 쓰였고, 실제 행정동은 이 둘을 합쳐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¹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p.125.

 

 

2. 덕진동의 유래와 주요 지명²

덕진동(德津洞)은 전주시의 덕진구 중앙에 위치한 동이다. 지형적으로 평지가 많으나 건지산과 가련산 등의 낮은 산지와 함께 주변으로 구릉지가 있다. 평지는 상업지구와 주택지구가 중심을 이루고 있고, 조경단, 덕진공원, 공설운동장, 실내체육관과 전북대학교가 소재하고 있다. 전주의 도심으로 이어지는 간선도로인 팔달로가 지나고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전주)덕진(德津)’으로 표기되어 있다. 호구총수(전주)에는 조촌면의 덕진중리(德津中里), 덕진하리(德津下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덕진동은 덕진공원에 있는 덕진못에서 연유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조촌면에 속해 있었으며 1940년에 전주시로 편입되었는데 일제의 동명칭인 정()을 사용하여 덕진정으로 불렸다. 1946년에 해방과 동시에 왜식 동명 변경으로 인하여 덕진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57년에 덕진동 12가로 분동하였다가 1973년에 다시 덕진동으로 통합하였다.³덕진동 1, 2가의 동명은 주소지에서만 그대로 쓰였으며, 실제 행정동은 이 둘을 합쳐 현재까지 유지된 채로 사용되고 있다.

 

²한글학회, 1991, 한글학회 지은 한국지명총람 12(전북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³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p.125.

덕진동의 행정구역명 변화과정

 

 

 

1) 덕진동 1가 일대의 주요 옛 지명

고깔봉

용수 동북쪽에 있는 산이다. 건지산(시 산천)줄기가 되며 모양이 고깔처럼 생겼다.

 

노구봉

상가 북쪽에 있는 산이다. 가련산 줄기가 된다.⁴⁾

 

⁴⁾ 한글학회, 1991, 한글학회 지은 한국지명총람 12(전북편), p.354.

 

대지동

용수 동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도치묘

조경단을 의미한다.

 

덕암(德巖) [심금동, 덕중리]

연화 서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덕진공원(德津公園)

덕진지를 중심으로 하여 부근 일대에 걸쳐 있는 공원이다. 192910월 창설하여 1,320m의 희랑도로, 야구장, 육상 경기장 등을 설치하였다. 북동쪽으로 건지산, 서남쪽으로 가련산, 못 서남쪽 가에 취향정, 화수각이 있다.

덕진공원(德津公園) 야경 2022.06.03. 단오

 

 

 

덕진역(德津驛)

덕진지 남쪽에 있는 역이다. 전주 이리간의 경편철도가 개통됨에 따라, 191411일에 준공하여 업무를 개시하였으나 간이역이었으며 1956520일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덕진지(德津池) [덕진호]

덕진동 중앙에 있는 못이다. 넓이 32,239평으로 도선(道詵)대사가 전주의 지세가 북쪽이 공허하여 기맥이 흘러 나간다고 하였다 해서 이를 막기 위해 건지산과 가련산을 연결하여 큰 제방을 쌓아 만들었다. 둘레 9,073, 깊이 6척이다. 1929년 박기순(朴基順)이 연못 기슭 일주도로 약 1,800m(6,039)를 만들었다. 덕진채련(德津採蓮)은 전주 8경의 하나이다. 못 서남쪽 가에 취향정이 있다. 단오절에 덕진지의 물로 몸을 씻으면 건강하고 부스럼 따위가 생기지 않는다는 미신에 의하여 아낙네들이 애들을 데려와서 목욕을 시키는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

덕진지(德津池)의 명품 연꽃

 

 

 

도천봉

대지동 남쪽에 있는 산이다. 건지산의 줄기가 된다.

 

뒷방죽

재경꼴방죽이라고도 부른다.

 

 

2) 덕진동 2가 일대의 주요 옛 지명

 

들사평*

사평 남쪽 들에 있는 마을이다.

 

떡전거리

들사평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전에 서울로 가는 옛 길이 숲정이를 거쳐 이곳을 지나게 되어 떡장수가 많이 모였고, 또한 맛 좋기로 이름났다고 한다.

 

사평*

덕진지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토질이 모래가 많다.

*사평과 들사평 지역

 

 

 

상가(上可)* 학동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 정확하게 말한다면 상가리(上可里)는 학동리(鶴洞里)의 동남쪽 또는 남동쪽에 위치하고 있는 마을이다. -럭셔리크로우

 

서낭당이 골

사평 북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전에 서낭당이 있었다.

 

선바위

사평 서남쪽 들 가운데 있는 바위이다.

 

순국학도 현충탑

가련산 동쪽 중복에 있는 탑이다. 6 25사변 때 전몰한 학생들의 위령탑으로 1960년에 세웠다.

순국학도 현충탑

 

 

 

연화(蓮花)

덕진지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덕진지의 연꽃에서 딴 이름이다.

 

용산다리 [용산교]

용산평 동북쪽에 있는 다리이다. 팔복동과의 사이에 있는 용산교(추천교)와는 별도의 것이다.

 

용산평(龍山坪)

떡전거리 동쪽에 있었던 터이다. 금암동 서북쪽에 걸쳐있는 들이었는데 1967년 전주 체육종합 경기장으로 만들었다.

 

용수(龍水)

연화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자래 꼬태기

사평 서남쪽에 있는 골짜기이다. 지형이 자라 목과 같다.

 

장구봉

대지 동쪽에 있는 산이다. 건지산(시 산천)줄기가 된다. 장구처럼 생겼다.

 

재경골

사평과 학동 사이에 있는 골짜기이다.

 

재경골 방죽 [뒷포강]

재경골 동쪽에 있는 소류지이다. 넓이는 약 1,000평이다.

 

전주 우시장(全州 牛市場)

덕진동 동남쪽에 있는 우시장이다. 동완산동에 있는 쇠전터에서 2, 3일 서다가, 1946년에 노송동으로 옮겼다가 1962년 지금의 자리로 옮겼다.

 

조경단(肇慶壇) [도치묘, 덕진릉]

건지산 남동쪽 기슭에 있는 조선조 태조의 21대조인 신라 때 사공(司空) 이 한(李翰)의 묘이다. 오랫동안 황폐되었던 것을 고종 광무 3(1899) 5월 새로 단을 설치하고 조경단이라 하였다.이한의 별호가 도치이다.

조경단(肇慶壇)

 

 

 

취향정(醉香亭)

덕진호 서남쪽 가에 있는 정자이다. 덕진공원의 경치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박기순이 1937년 건립하여 전주시에 기부한 것이다.

취향정(醉香亭) 야경

 

 

 

하가(下可)

덕진호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학동(鶴洞)* 하가 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 학동리(鶴洞里)는 내가 나고 자란 고향으로 현재의 하가지구에 포함되나 하가리-학동리-상가리가 있었다. -럭셔리크로우

 

 

3) 덕진동(행정동) 일원의 주요 자연지명

 

가련산(可蓮山)

전주시의 덕진동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56m). 산 주위로는 주택지와 법원 등의 관공서가 자리잡고 있다. 산이 구릉과 같이 낮아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여지도서(전주)관아의 서쪽 10리에 있다. 건지산(乾止山)의 산세가 여기에 와서 끊어졌는데, 민간에 전하기를,이어져야 할 만한 곳에서 끊어졌다는 뜻에서 가련산이라 이름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광여도에 조촌면 일대에 가련산 지명이 기재되어 있으며, 남쪽 산록에 장대(將臺)가 묘사되어 있다.⁵⁾

 

⁵⁾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p.128.

사진 하단 충혼탑이 보이는 곳이 가련산

 

 

 

건지산(乾止山)

*덕진동과 송천동에 걸쳐 있는 산이다. 전주시의 진산이며, 기슭에 조경단(肇慶壇)이 있다.

전주시의 덕진동에 위치한 산이다(고도 : 99m). 전주 이씨의 시조인 이한(李翰), 생몰미상)의 묘소인 조경단(肇慶壇)이 있고 주변에는 전북대학교, 세계 소리문화의 전당, 전주 동물원이 있다.조경단이 있어서 능산(陵山)’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지리지와 지도에 지명이 수록되어 있어 유래가 오래된 지명임을 보여 준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전주)에 이규보(李奎報, 1168~ 1241)가 이 산을 전주에 건지산이 있는데 소목이 울창하여 주()의 웅진(雄鎭)이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진안현(鎭安縣) 마이산(馬耳山)에서 뻗어 나와 고을의 진산(鎭山)을 이룬다. 관의 북쪽 10리에 있다.”고 수록되어 있다. 한편 팔도지도에는 건지산이 건상산(乾上山)’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건지산의 오기로 보인다.⁶⁾

 

⁶⁾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p.128.

하단 전북대학교 기숙사 뒤로 중간부위의 산이 건지산(우측 중간 조경단, 한국소리문화의 전당이 보인다)

 

 

 

전주천(全州川)

전주시의 동서학동 풍남동 진북동 덕진동을 흐르는 하천이다. 임실군 관촌면 슬치에서 발원하며 시의 중심지를 남동쪽에서 북서쪽으로 관통하여 흐르고 서신동 추천(鞦川)에서 삼천(三川)과 합류한다. 도심 속의 생태하천으로 복원되었으며 남천교, 싸전다리 등이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전주)에는 전주천을 남천(南川)으로 표기하고서 부의 남쪽 3리에 있다. 현 임금 4년에 내를 막고 돌을 쌓으니 길이가 6천 자나 되었다. 남천의 근원은 여현(礪峴)에서 나오는데 부의 동남에 이르러 성을 둘러 북으로 가련산을 지나 추천이 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여지도서(전주)에도 남천(南川)으로 표기되어 있는데, 이는 향교의 남쪽에 있다하여 칭해진 것이다.이 남천에는 남천석교(南川石橋)라는 다리가 있었다. 동일 문헌에 관아의 남쪽 3리에 있다. 예전에는 돌이 우뚝 솟은 평평한 다리였는데, 오랜 세월이 흘러 허물어졌다. 정조 신해년(1791, 정조 15)에 관찰사 정민시(鄭民始, 1745~1800)가 다시 손질해 규모를 바꾸어 무지개다리로 만들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지금은 남천교라 부르고 있다. 해동지도에서 전주부의 동남 산지에서 발원한 줄기가 읍치를 감싸면서 돌아 추천교(鞦川橋)를 지나 옥구(沃溝)로 흘러 나가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서는 읍치의 하류부에 추천(楸川)’으로 기재되어 있어 부분칭이 사용되었음을 보여준다. 만경강과 합류부에는 횡탄(橫灘)’ 지명이 기재되어 있다.⁷⁾

 

⁷⁾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p.133~134.

현재의 남천석교(南川石橋)를 지나는 전주천

 

 

 

추천(鞦川), 가르내

전주시의 송천동과 팔복동의 사이를 흐르는 하천이다. 전주천과 삼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소양천과 다시 합해지는 곳까지의 하천이다. 전주천과 삼천이 합류하는 지점에는 추천대(鞦川臺)가 있다. 덕진동과 팔복동 사이에는 다리를 건설하여 추천대교(鞦川大橋)라 칭했다. 여지도서(전주)에는 횡탄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관아의 서쪽 30리에 있다. 남천, 삼천, 대야소천 물줄기가 합류하여 횡탄을 이루며, 또 서쪽으로 흘러가서 신창진을 이룬다.” 라고 기록하고 있다.

추천(鞦川)-전주천과 삼천이 합류하는 지점

 

 

 

덕진호(德津湖)

전주시의 덕진동 덕진공원에 있는 호수이다. 전주천의 유로변경에 의해서 형성된 호수로서 주변에는 전북대학교가 있다. 여지도서(전주)에는 덕진지(德津池)로 표기되어 있으며, “관아의 북쪽 10리에 있다. 고을의 땅의 형세가 서북쪽 방향이 텅 비고 허전해 전주의 땅 기운이 이쪽으로 새어버린다. 그러므로 서쪽 가련산으로부터 동쪽으로 큰 둑을 쌓아 새어나가는 땅 기운을 멈추게 했다. 연못 둘레는 90,073척이며, 물의 깊이는 6척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택리지에는 건지산의 한줄기가 서쪽으로 뻗어 덕지가 되었는데, 그윽하면서도 넓다.”라고 되어 있다.대동여지도(전주)에는 덕지(德池), 조선지형도상에는 덕진호로 표기되어 있다. 이곳은 풍수지리상 전주의 비보(裨補)를 위하여 세워진 인공 연못이다. 이곳에서는 5월 단오에는 이 호수의 청포물에 머리를 감았고, 여름에는 연꽃이 만개한다.⁸⁾

 

⁸⁾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0, 한국지명유래집 전라·제주-. p.134.

전주 덕진공원 덕진호(德津湖)

 

 

권삼득로

기점: 중노송동 495-33, 종점: 덕진동230-17

 

권삼득로는 전주고 앞에서 북쪽으로 향하여 선미촌, 진북우체국, KBS, 전주금암초등학교, 전북대학교, 덕진연못, 도립국악원, 호반촌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이 길에는 전주의 명창인 권삼득기적비가 도립국악원 앞에 위치하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권삼득기적비는 소리할 때 쓰는 북모양을 조각하여 만들었으며, 내용은 서예와 소리를 했던 석전 황욱이 썼다.

국창 권삼득은 양반 출신의 비가비(非可非) 소리꾼이다. 그는 1771(영조47) 전북 완주군 용진면 구억리 양반가문에서 출생했으며 본명은 권정이나 사람소리, 새소리, 짐승소리의 세 소리를 얻었다고 해서 삼득(三得)이라 불리었다.

12세 때부터 하은담(河殷潭), 최선달(崔先達)등으로부터 소리공부를 시작, 19세기 전반(순조) 8명창의 한분이셨다. 그는 전주 근교 산과 계곡 등을 떠돌며 소리를 익혀 득음을 함으로써 명창중의 으뜸명창으로 널리 알려졌다. 그는 흥보가가 장기이고 더늠(특출한 소리대목)으로 후세에 전하는 것은 제비후리러 가는 대목인데, 이로써 설렁제창시자가 됐으며 양반광대라는 이름의 비가비라는 명칭을 얻게 됐다.

권삼득기적비가 전북도립국악원 앞에 세워진 이유는 전주가 판소리의 고장이기 때문이다. 그러기 때문에 전주는 판소리를 비롯하여 전주대사습놀이대회가 일제시대에 끊어졌으나 다시 1980년에 전주대사습놀이가 부활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글출처 : 전주시 마을조사사업 “동심(洞心)”찾기 덕진동_2016년 편]

기린대로 북쪽으로 연결된 도로

 

 

33개 동의 유래에서 제가 태어나고 살아온 덕진동을 시발점으로 아직 32개의 동별 유래 이야기가 남았습니다. 사실 이 자료를 검증하고 사진을 찍어야 하는 문제 등으로 많은 시간 공을 들여 올리는 포스팅입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