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 럭셔리크로우의 전주 기행
완주

2023년 완주 불명산 복수초(福壽草) 1편

by 전주 럭셔리크로우 2023. 3. 2.
반응형

지난 복수초 포스팅을 뒤로하고 2023년 2월에 만난 복수초(福壽草) 사진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복수초 완주 불명산에서 만나다!

2022년 4월 24일 가족과 함께 완주 불명산 화암사(花嚴寺)를 다녀왔고, 그때 보고자 했던 복수초(福壽草)는 만나지 못했습니다. 지난 포스팅 「완주 불명산 화암사 바위 위에 꽃이 피었다」를 작성

jeonjucastelblog.tistory.com

화창한 겨울의 파란 하늘이 오늘의 행선지를 알려줍니다. 오늘은 늦지 않게 겨울에 피어나는 복수초를 찾아 완주 불명산으로 떠나봅니다.

2023.02.05. 얼음이 녹지 않은 경천저수지
2023.02.05. 얼음이 녹지 않은 경천저수지

 

전주에서 불명산(佛明山_428m)으로 가는 길에 만날 수 있는 경천저수지를 찍어봅니다. 저 멀리 대둔산이 보입니다.

불명산 복수초
복수초(福壽草)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佛明山) 복수초(福壽草)

 

불명산의 계곡으로 파란 하늘이 맑게 보입니다. 계곡 곳곳에는 아직도 얼음이 녹지 않고 있네요.

불명산 계곡
2월 불명산 얼음

불명산 계곡 얼음
불명산 계곡 얼음

 

불명산 얼음 계곡
불명산 얼음 계곡

 

얼음이 곳곳에 보입니다
얼음이 곳곳에 보입니다

 

물기를 머금은 돌이끼
물기를 머금은 돌이끼

 

불명산은 아직도 한 겨울입니다
불명산은 아직도 한 겨울입니다

 

바위에 생긴 고드름
바위에 생긴 고드름

 

바위를 미끄러지며 내려오는 물이 얼은것
바위를 미끄러지며 내려오는 물이 얼은것

 

불명산 바위 고드름
불명산 바위 고드름

 
이렇게 추운데, 복수초가 폈을까? 아니 만날 수 있을 거야.... 생각하며 복수초를 찾아 돌아다녔습니다.

복수초_미나리아재비목
복수초_미나리아재비목

 
30분을 넘게 찾아봤지만 보이지 않아 포기하고 돌아가는 길에... 드디어 낙엽 사이에 핀 복수초를 발견했습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낚엽 사이에서 환하게 핀 복수초를 만났습니다
낚엽 사이에서 환하게 핀 복수초를 만났습니다

 

낚엽 사이에서 환하게 핀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낚엽 사이에서 환하게 핀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소빙화(消氷花)
소빙화(消氷花)

 

복수초(福壽草)
복수초(福壽草)

 

여러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눈색이꽃

 

불명산 설연
설연

 

복수초

학명: Adonis amurensis Regel & Radde
학명이명: Adonis amurensis var. angustiloba A.I.Baranov & Skvortsov
분류체계: Magnoliophyta 피자식물문 > Magnoliopsida 목련강 > Ranunculales 미나리아재비목 > Ranunculaceae 미나리아재비과 > Adonis 복수초속

Adonis amurensis
Adonis amurensis

 
개요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해발 고도 800m 이상의 산지 숲 안, 경사면의 초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꽃이 필 때 5~15cm지만 나중에 30~40cm까지 자라며, 보통은 가지가 갈라지지 않지만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며, 3~4번 깃꼴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아래쪽 잎자루는 길지만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3~4월에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2.8~3.5cm,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보통 8~9장,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조금 길며, 검은 갈색을 띤다. 꽃잎은 10~30장이고, 길이 1.4~2.0cm, 폭 5~7mm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수과, 공 모양이며, 길이 1cm 정도의 꽃턱에 모여 달리고, 가는털이 있다. 이 종은 가지복수초와 비교했을 때, 줄기가 가지 치지 않고, 잎의 전체 모양이 삼각형이며, 줄기에 달려 있는 잎이 잎자루가 있고, 8개 있는 꽃받침은 꽃잎보다 크거나 비슷하다는 점에서 가지복수초와 구별된다. 또 제주도에 자라는 세복수초와 비교했을 때, 꽃받침잎이 보다 많고 폭이 좁으며, 줄기에 난 잎자루가 보다 길어서 구분된다. 관상용으로 심고, 뿌리는 약재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형태

초본으로 줄기는 꽃이 필 때 5~15cm지만 나중에 30~40cm까지 자라며, 보통은 가지가 갈라지지 않지만 갈라지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며, 3~4번 깃꼴로 갈라지는 겹잎이다. 아래쪽 잎자루는 길지만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은 줄기 끝에 1개씩 피며, 지름 2.8~3.5cm,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보통 8~9장,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조금 길며, 검은 갈색을 띤다. 꽃잎은 10~30장이고, 길이 1.4~2.0cm, 폭 5~7mm다. 수술과 암술은 많다.

꽃은 줄기 끝에 1 개씩 핀다
꽃은 줄기 끝에 1 개씩 핀다

 
분포

전국 및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분포: 전국 및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분포: 전국 및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생태

여러해살이풀로 꽃은 3~4월에 핀다. 해발 고도 800m 이상의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산지의 낙엽활엽수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이용 및 활용

관상용으로 심는다.

관상용 및 약용식물
관상용 및 약용식물

 
해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복수초의 분류학적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많다(Lee eet al. 2000, 2004; Suh et al. 2002). 최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화분학적 연구, 분자생물학적 연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는 복수초, 가지복수초(Adonis ramosa Franch.), 세복수초(Adonis multiflora T. Nishikawa et K. Ito)의 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복수초는 가지복수초와 비교했을 때, 줄기가 가지 치지 않고, 잎의 전체 모양이 삼각형이며, 줄기에 달려 있는 잎이 잎자루가 있고, 8개 있는 꽃받침은 꽃잎보다 크거나 비슷하다는 점에서 가지복수초와 구별된다. 또 제주도에 자라는 세복수초와 비교했을 때, 꽃받침잎이 보다 많고 폭이 좁으며, 줄기에 난 잎의 자루가 보다 길어서 구분된다. 뿌리는 강심제로 쓰이고, 전초는 이뇨제, 정신 안정제로 쓰인다(Duke and Ayensu 1985; Shimizu et al. 1967). [글 출처:국립생물자원관]

불명산 명품 복수초
불명산 명품 복수초

 

복수초 꽃말_영원한 행복
복수초 꽃말_영원한 행복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가지복수초, 가지복소초, 눈색이꽃, 복풀이라고도 하고 또 지방에 따라 얼음새꽃, 원단화라고도 한다. 눈 속에 피는 연꽃 같다고 해서 ‘설연’이라는 이름도 있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복수초의 꽃말‘영원한 행복’이다. [글 출처: 야생화 백과사전_봄 편]

눈색이꽃
눈색이꽃

 

복과 생명을 상징하는 꽃
복과 생명을 상징하는 꽃

 

낙엽 사이에는 복수초의 싹(새순)이 올라오고 있었다. 한 겨울을 힘들게 나고 올라와 꽃 피우는 복수초의 생명력에 다시 한번 조심하며 사진을 찍었다.

복수초의 싹(새순)1
복수초의 싹(새순)1
복수초의 싹(새순)2
복수초의 싹(새순)2
복수초의 싹(새순)3
복수초의 싹(새순)3
복수초의 싹(새순)4
복수초의 싹(새순)4
복수초의 싹(새순)5
복수초의 싹(새순)5
불명산 복수초
설연

불명산 복수초 새순
불명산 복수초 새순

불명산 복수초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 꽃 이다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명품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消氷花

 

이날 완주 불명산에서 만난 복수초는 딱 3송이였습니다.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불명산 복수초, 눈색이꽃(눈새꽃), 얼음새꽃
사라질소. 얼음빙. 꽃화

 

복福장수長壽를 상징하는 꽃 복수초(福壽草)는 모진 겨울의 눈과 얼음을 뚫고 나와 피는 꽃 그래서 복수초는 눈과 얼음 사이에 피는꽃이라 눈색이꽃(눈새꽃), 얼음새꽃으로도 불린다. 

728x90
반응형

댓글